[경제금융용어] 6. 고통지수 (Misery index)
고통지수(Misery Index)는 1975년 미국의 경제학자 아서 오쿤 (Arthur Okun)이 만든 지표로, 소비자물가상승률(Inflation Rate)과 실업률(Unemployment Rate)을 합산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 지표는 실업률과 물가 상승이 국민의 경제적 고통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수치가 높을수록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고, 실업자는 증가하고 물가는 상승하여 국민이 느끼는 삶의 고통이 커짐을 의미한다.
고통지수의 계산 방법
고통지수 (Misery Index) = 실업률 (Unemployment Rate) + 소비자물가상승률 (Inflation Rate)고통지수는 나라별로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계산하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국가 간 비교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빈부격차나 조사 대상에 따라 각기 다른 고통의 정도를 경험할 수 있어, 이 지표만으로 각국의 삶의 질을 단순 비교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배로 고통지수 (Barrow Misery Index, BMI)
오쿤의 고통지수 외에도, 1999년 하버드대학교의 배로(R. Barrow) 교수는 배로 고통지수 (BMI)를 발표하였습니다. 이 지표는 오쿤의 고통지수에 국민소득 증가율과 이자율을 반영하여 보다 종합적인 경제적 고통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지표입니다. 배로 고통지수는 고통지수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제시된 지표로, 경제 성장과 금리의 영향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경제적 고통을 더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합니다.
The Misery Index is an economic indicator created by American economist Arthur Okun in 1975. It is calculated by adding the inflation rate and the unemployment rate, with the aim of measuring the economic distress experienced by the population. The higher the Misery Index, the greater the economic hardship faced by citizens, as it indicates both increasing unemployment and rising prices, which contribute to a lower standard of living.
Misery Index Formula
Misery Index=Unemployment Rate+Inflation Rate
While the Misery Index provides insight into economic well-being, it has some limitations. The calculation of inflation and unemployment rates can vary between countri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irectly compare the Misery Index across nations. Additionally, factors such as income inequality and the target population for surveys can affect how individuals perceive their economic distress, making the index subjective to some extent.
Barrow Misery Index (BMI)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Professor Robert Barrow of Harvard University developed the Barrow Misery Index (BMI) in 1999. This index builds on Okun’s original formula by incorporating factors such as income growth and interest rates, offering a more comprehensive view of economic hardship. By including these additional elements, the Barrow Misery Index provides a more nuanced assessment of the economic challenges faced by individuals, considering broader economic factors like growth and monetary policy.
*출처: 경제금융용어 700선, 한국은행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