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또는 스프레드, spread)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한다. 한편 만기가 기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텀스프레드, term spread)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이다.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 즉 스프레드는 커진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 (Treasury Bond)나 리보(LIBOR, 런던은 행간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등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어서 발행되는 게 보통이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지난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 해외에서 기채할 때 높은 가산금리를 지불한 경험이 있다. 기준금리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가산금리 또는 스프레드는 보통 베이시스 포인트 (bp, basis point)로 나타내는데 예를 들면 0.5%의 금리격차를 50bp로 표기하고 1%는 100bp로 표기된다.
The credit spread refers to the additional interest rate applied over a benchmark rate based on factors such as creditworthiness. For example, when banks determine loan interest rates, they add a loan spread to their funding cost depending on the borrower’s credit risk. Additionally, when a longer maturity results in an extra premium, this is called the term spread, which is also a type of spread. Generally, the higher the creditworthiness, the lower the spread; conversely, the lower the creditworthiness, the higher the spread.
In the bond market, a yield spread refers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est rate of a financial instrument and a benchmark rate. When issuing bonds internationally, the benchmark is typically the yield on U.S. Treasury bonds of the same maturity or the London Interbank Offered Rate (LIBOR). The final bond yield includes a spread over the benchmark rate, reflecting the issuer’s credit risk.South Korea, for instance, had to pay a significantly high credit spread when issuing bonds overseas during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The spread, or the difference from the benchmark rate, is commonly expressed in basis points (bp). For example, a 0.5% interest rate difference is denoted as 50 basis points (50bp), while a 1% difference is written as 100 basis points (100bp).
*출처: 경제금융용어 700선, 한국은행 2024
'Investigation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6. 고통지수 (Misery index) (0) | 2025.01.29 |
---|---|
[경제금융용어] 5. 고정금리 (Fixed interest rate) (0) | 2025.01.29 |
[경제금융용어] 4. 고용률 (Employment rate) (0) | 2025.01.29 |
[경제금융용어] 3. 경상수지 (Current account balance) (0) | 2025.01.29 |
[경제금융용어] 2. 경기동향지수 (Diffusion index) (0) | 2025.01.29 |